일요일 및 공휴일은 휴진입니다.
혈관도 추위 탄다, 겨울철 더 무서운 고혈압
추위에 노출되면 우리 몸은 체온을 지키기 위한 방어 태세를 갖춘다. 찬 바람이 불 때 손과 발끝이 시리고, 소름이 돋았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는 몸이 열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혈관과 근육, 모공을 수축시킨 결과다. 몸이 기온 변화에 이처럼 민감하게 반응하는 덕에 우리는 추운 날에도 정상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생명 유지를 위한 필수적인 기능이지만, 때로는 오히려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찬바람에 올라가는 혈압, 합병증 위험↑
체온이 0.5도만 떨어져도 우리 몸은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하고, 혈관을 수축시킨다. 열 손실을 억제하고, 열을 생산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맹렬한 추위에도 적정 체온인 36.5도를 유지할 수 있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혈압도 함께 상승한다는 점이다. 혈관이 수축해 혈류의 저항력이 높아지고, 혈압이 상승하는 것. 실제 혈압은 기온이 낮아질수록 높아지고 반대로 기온이 높아지면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 때문에 여름과 겨울의 최고혈압을 비교해 보면 3~5mmhg 정도 차이가 난다.
혈압이 상승하면 우리 몸에 어떤 문제가 생길까? 혈압 상승이 불러오는 문제에 대해 내과 구지훈 원장(시흥센트럴병원)은 이렇게 설명한다. "높은 압력의 혈액은 혈관 자체의 내피세포에 상처를 입힌다. 피부에 심한 상처가 나면 아물면서 섬유질이 생긴다. 아문 상처를 만져보면 딱딱한 이유다. 혈관도 이처럼 아무는 과정에서 섬유화되면 탄력을 잃고, 점점 딱딱해진다. 이렇게 혈관이 딱딱해지면 혈압이 더 높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추운 날씨에 널뛰는 혈압을 잡지 못하면 고혈압이 악화되는 것은 물론, 각종 합병증의 발병 위험도 커진다. 그리고, 이때 발생하는 합병증은 대다수 치명적이다. 구지훈 원장에 따르면 심장을 먹여 살리는 혈관이 망가지면 협심증, 심근경색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으며, 뇌의 혈관이 망가지면서 불구가 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드물지만 대동맥이 찢어지거나 터지는 경우도 있다. 이는 한 번의 사건으로도 사망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이다.
겨울과 고혈압 합병증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자료가 하나 있다. 대한고혈압학회가 통계청 자료를 기초로 고혈압 관련 질환 사망률은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여름철보다 겨울철이 33%나 높다. 또 학회에 따르면 고혈압 합병증으로 사망한 사람은 10월부터 늘기 시작해 12~2월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겨울철 고혈압 환자 괴롭히는 요인들
낮은 기온이 고혈압 환자에게 미치는 악영향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날씨가 추워지면 활동량이 줄어들면서 살이 찌기 쉬운데, 이 역시 혈압 상승의 원인이 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체중이 10% 증가하면 혈압이 7mmhg 상승한다.
또 추운 날씨에는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혈액이 끈적해지는데, 우리 몸이 이러한 변화를 겪을 때 감기에 걸리면 고혈압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감기, 독감 등 호흡기 감염병에 걸리면 염증 반응이 나타나면서 혈전이 발생한다. 이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혈압 환자, 특히 고혈압 합병증을 앓고 있는 이들은 혈관이 약하기 때문에 혈전과 끈적한 피가 더해지면 뇌졸중, 심근경색증 같은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겨울철 고혈압 관리, 기본이 중요
다행히 고혈압은 잘 관리하면 치명적인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고대구로병원 연구팀은 고혈압 환자가 목표혈압 이하로 관리하면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최대 60%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겨울철 고혈압 관리의 시작은 처방받은 약을 꾸준히 먹는 것이다. 이를 기본으로 하여 혈압 측정을 주기적으로 하고, 생활 습관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고혈압 관리의 핵심은 이들을 꾸준히 하는 것인데, 스스로 지속하기 어렵다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일례로 '웰체크'의 경우 혈압 수치를 기록하면 주치의에게 공유되어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또, 식습관을 함께 기록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주치의에게 공유될뿐더러 스스로 점검할 수 있어 관리를 지속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
도움말 = 구지훈 원장(시흥센트럴병원 내과 전문의)